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주요국의 자영업자에 대한 근로장려세제 적용기준 연구
관련 검색어 EITC 자영업자
  • 발행월 2012-08
  • 저 자 김재진 , 송은주 , 이정미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14234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 우리나라의 근로장려세제는 저소득자에 대한 실질적인 소득지원을 통하여 극빈층으로의 하락을 예방하고 근로의욕을 제고하기 위하여 2006.12.30 법 개정을 통해 신설되었고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음 □ 실질소득을 지원함으로써 일을 통한 빈곤탈출을 돕는 근로장려세제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프랑스 등 선진 국가에서 시행하고 있음 □ 근로장려세제를 시행하고 있는 모든 국가들이 근로자뿐만 아니라 자영업자도 적용대상에 포함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근로자만을 대상으로 제도가 도입되었음 □ 자영업자의 경우, 근로소득자에 비해 소득 파악률이 낮기 때문에 근로소득자와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음 ○ 그러나 최근 빈곤층 자영업자가 증가하는 사회적 현상을 고려할 때 더 이상 자영업자라는 이유만으로 적용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는 없을 것임 □ 우리나라 자영업자 비율은 전체 취업인구의 28.8%(2010년 기준)로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에 있음 □ 우리나라는 2010.1.1 법 개정으로 2014년 귀속분부터는 자영업자도 근로장려세제의 적용범위에 포함할 계획에 있음 ○ 근로장려세제의 적용대상에 자영업자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근로소득자만을 대상으로 설계된 제도에 대한 보완조치가 필요하나 아직 제도적인 준비가 미비한 상황임 □ 우리나라의 소득파악 수준은 근로자의 경우 80% 이상인 반면 자영업자의 경우 50~60% 내외로 추정되고 있으므로 자영업자의 소득을 근거로 근로장려세제를 적용하는 데 따른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근로장려세제 도입이 자영업자의 소득파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우리나라의 근로장려세제(EITC)

1. 사회보장제도의 체계
2. 근로장려세제
3. 자영업의 과세소득 산정과 신고납부의무

Ⅲ. 주요국의 근로장려세제 적용기준

1. 미국
2. 캐나다
3. 영국
4. 뉴질랜드

Ⅳ. 근로장려세제의 국제비교

1. 근로장려세제의 개요
2. 근로장려세제의 급여체계 및 근로요건
3. 임금소득자 및 자영업자의 근로장려세제 적용기준
4. 자영업자의 근로장려세제 적용 시 소득산정

Ⅴ. 시사점 및 결론

1. 근로장려세제의 급여체계 및 적용요건
2. 자영업자에 대한 근로장려세제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