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주요국의 조세제도-홍콩편
관련 검색어 홍콩 조세제도
  • 발행월 2011-04
  • 저 자 조명환 , 정재호 , 이정미 , 정경화
  • 크 기 B5
  • 가 격 8,000원
  • 조회수 33370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1840년대부터 자유항으로 선포된 이후 중계무역의 중심지 중 하나로 발전하게 된 홍콩은 1997년 중국으로 주권이 이양된 이후에도 최근까지 세계에서 경제적 자유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또한 홍콩은 외국인 투자에 대하여 철저한 자유경제원칙에 의거한 무차별 정책을 고수하고 있지만, 외환규제가 없는 자유시장정책, 저세율, 소간섭형 자유방임주의적 경제정책 등으로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중국 진출을 위한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증대되어 홍콩에 진출하는 외국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홍콩은 우리나라의 4대 수출국 중 하나로 2009년을 기준으로 홍콩과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약 197억달러에 달하고 있다. 또한, 홍콩은 우리나라의 5대 투자대상국으로 2009년 말까지 한국기업의 대홍콩 투자진출 법인 수는 1,282개로 투자금액은 92.3억달러에 달하고 있는 등 홍콩은 우리나라 경제에 있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와 홍콩 사이의 교류가 많고 홍콩에 대한 기업 진출이 활발한 상황에서 홍콩의 조세제도를 이해하는 것은 투자기업의 경영성과나 이익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홍콩의 조세제도에 대하여 전반적인 개요서를 찾아보기 쉽지 않은 것도 현실이다. 이에 따라 본원에서는 홍콩의 조세제도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현재 발간하고 있는『주요국의 조세제도』시리즈의 하나로 홍콩의 조세제도를 개략적으로 정리하여 보았다.

목차별 원문

제1편 총론

Ⅰ. 사회 및 경제 환경
Ⅱ. 조세체계
Ⅲ. 세수입 규모 및 구성
Ⅳ. 최근의 재정정책 및 조세정책 방향

제2편 소득세제

Ⅰ. 개요
Ⅱ. 급여소득세
Ⅲ. 이윤세
Ⅳ. 국제조세

제3편 재산세제

Ⅰ. 재산세(Property Tax)
Ⅱ. 부동산세(Government Rent·Rates)
Ⅲ. 인지세(Stamp Duty)

제4편 소비세제

Ⅰ. 주세(Duty on Liquor)
Ⅱ. 담배세(Duty on Tobacco)
Ⅲ. 유류세(Duty on Hydrocarbon Oil)

제5편 기타 조세

Ⅰ. 도박세(Betting Duty)
Ⅱ. 사업등록세(Business Registration Tax)
Ⅲ. 공항출국세(Air Passenger Departure Tax)
Ⅳ. 호텔숙박세(Hotel Accommodation Tax)
Ⅴ. 자동차 최초등록세(Motor Vehicle First Registration Tax)

제6편 조세절차

Ⅰ. 벌금(Penalty) 및 가산금(Surcharge)
Ⅱ. 사전답변제도(Advance Ruling)
Ⅲ. 조세불복제도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