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조세재정브리프

연구보고서 17-16 공공조달시장제도 개선방안 연구
관련 검색어 공공조달시장 낙찰제도 물품계약 공사계약
  • 발행월 2017-12
  • 저 자 강희우 , 김빛마로
  • 크 기 B5
  • 가 격 6,000원
  • 조회수 9079

상세 내용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조달시장의 낙찰제도가 조달계약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 나라장터의 입찰공고내역과 개찰내역 자료를 정리해 물품계약과 공사계약에서 주요 낙찰제도가 낙찰률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물품계약에서 낙찰제도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낙찰률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물품의 종류 및 특징에 따라 낙찰제도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는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공사계약에서 종합심사낙찰제는 추정가격 300억원 이상의 계약에서 비가격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기존의 최저가낙찰제를 대체한 것이지만, 실질적으로 비가격요소의 변별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 공사에 적용하고 있는 적격심사 역시 비가격요소의 변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비가격요소 평가의 실효성 강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Ⅱ. 우리나라 공공조달시장 개요

1. 공공조달시장의 정의 및 목적
2. 관계 법령
3. 주요 제도

Ⅲ. 물품계약의 낙찰제도

1. 물품조달시장과 「판로지원법」
2. 자료 소개
3. 중기간 경쟁제품의 낙찰제도: 중기간 계약이행능력심사와 제한적최저가 비교
4. 가격과 비가격요소를 고려한 낙찰제도: 2단계 경쟁, 협상에 의한 계약 및 적격심사 비교
5. 소결

Ⅳ. 공사계약의 입낙찰제도

1. 공사계약 낙찰제도
2. 대형 시설공사의 낙찰제도
3. 소규모 시설공사의 낙찰제도
4. 소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