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지방소비세 지방소득세제 도입 여부에 관한 연구
관련 검색어 지방세수 소비과세 최종소비지출
  • 발행월 2003-12
  • 저 자 김현아
  • 가 격 8,000원
  • 조회수 19043

상세 내용

본 보고서는 국세를 지방세로 이양한다는 전제하에서 가능한 지방세원화 방안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우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이슈별 논거의 타당성 및 필요성에 따른 지방소비세 및 지방소득세 도입 여부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논거들을 단계적으로 요약해 보면 첫째, 지방세수 도입을 통한 지방재정 확충이다. 논리적 근거로는 지방정부의 과세자주권 확보, 지방세의 신장성 및 안정성 확보, 중앙의 기능 이양에 따른 재정수요 증가 등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둘째 그렇다면 과연 어떠한 세목을 지방으로 이양할 것인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으로 볼 때, 중앙정부는 조세의 소득재분배를 담당하는 것이, 지방정부는 응익과세를 통한 재원으로 효율적인 지방공공재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역간 세수격차 완화를 위한 면에서도 소비과세 이양을 통한 지방의 세수구조 재편성을 제안한다. 본 보고서는 이론적인 모형을 이용하여 지방소비세 확충의 근거를 제시해보고자 한다. 이전재원이 아닌 자체세입을 통한 자주재원이어야 하는 이론적인 근거는 아직까지 선행연구에서도 제시된 바가 없기에 모형부분은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라고 보여진다. 그 밖에 분권의 필요성, 국세 지방세 배분 관련 선행연구에서 지방정부의 일반 소비세수 권한의 문헌적인 근거를 살펴보고자 한다. 다른 나라 지방정부의 소비과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지방정부가 고려해야 하는 바를 제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각 경우에 따른 자치단체별 세수효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최종소비지출’을 소비의 배분기준일 때 지역간 세수격차가 완화될 수 있음을 결론으로 보여주고 있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지방세수강화의필요성

1.지방세도입에대한논의
2.지방소비세모형
3.요약

Ⅲ.지방세현황

1.국세지방세체계
2.지방세체계
3.지역간세수격차

Ⅳ.선행연구

1.분권의필요성
2.국세지방세배분
3.지방세수확충및지방소비세도입의근거
4.기술적인문제점:생산지원칙vs소비지원칙
5.일반소비세의공동세화방안:주요국의사례연구
6.요약

Ⅴ.지방소비세도입방안

1.부가가치세공동세방안과교부세율인상방안
2.도입시쟁점사항
3.지방세수효과
4.교통세도입방안
5.요약

Ⅵ.지방소득세도입방안

1.주민세소득할인상방안
2.소득세공동세방안

Ⅶ.요약및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