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15-20 공기업 부채와 도덕적 해이-정부의 암묵적 보증으로 발생한 보조금 규모 추정
관련 검색어 공기업 부채 도덕적 해이 부정적 외부효과
  • 발행월 2015-12
  • 저 자 최한수 , 이창민
  • 크 기 B5
  • 가 격 5,000원
  • 조회수 8827

상세 내용

본 연구에서는 공기업의 부채문제를 도덕적 해이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회사채 발행 과정에서 공기업은 시장에 존재하는 정부의 (암묵적) 보증에 대한 기대 때문에 유사한 조건의 민간기업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로 인해 절감된 이자비용을 정부 보증에 따른 묵시적 보조금(혹은 외부화된 부채비용)으로 보고 그 규모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공기업이 1억원의 회사채를 발행할 경우 민간기업에 비해 약 150만원 정도의 이자비용을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공기업이 1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할 때마다 정부가 이들에게 150만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묵시적 형태의 보조금은 그 규모 면에서 개별 공기업마다 상이했지만 공기업의 유형이나 정부의 결손 보전조항의 유무와 상관없이 존재하였다. 이는 이들이 단지 공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자금조달 과정에서 민간기업이 누릴 수 없는 혜택을 받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보조금은 여러 가지 사회적 비용을 유발시킨다. 과다 부채문제는 그 사회적 비용의 일부일 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4가지 정책대안을 제시하였고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였다. 제시된 4가지 대안은 교정세 부과, 보증 수수료 부과, 배당결정 시 반영, 예비타당성 평가 시 반영이다. 이 대안들을 관통하는 기본 생각은 정부의 (암묵적) 보증에 의해 외부로 전가되고 있는 공기업의 부채 발행 비용을 공기업의 비용으로 인식하도록 내부화시키는 것이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주요 결론

Ⅱ. 선행연구

1. 공공기관 부채에 대한 국내 연구
2. TBTF에 대한 해외 연구

Ⅲ. 이론적 접근

1. 도덕적 해이: 과도한 위험 선택(excessive risk-taking)
2. 외부성(Externality)

Ⅳ. 공기업 채권발행과 정부의 지원에 대한 기본 자료

1. 공기업의 채권 발행 현황
2. 공공기관 손실보전 의무조항
3. 민간 신용평가기관의 평가
4. 공공기관 발행 채권 위험가중치 변화

Ⅴ. 연구자료 및 기초 통계량 분석

1. 채권 자료
2. 기초통계량

Ⅵ. 실증분석 결과

1. 추정 신용등급
2. 추정 만기수익률
3. 암묵적 보조금규모 추정

Ⅶ. 결론과 정책대안

1. 요약
2. 공기업 부채에 대한 총량 규제 방법
3. 암묵적 보조금을 줄이기 위한 정책 제안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