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패널과 같이 매년 동일한 표본을 조사하는 패널조사(panel survey)에서는 특정 조사 시점에 조사에 참여하지 않거나 패널에서 완전히 탈락하는 가구가 발생해 표본이 마모(sample attrition)되어 표본 구성에 변동이 생길 수 있다.
원표본 가구의 가구원이 분가하게 되면 추적 조사를 실시하여 새로운 가구로 추가된다.
이런 다양한 원인에 의한 표본 및 모집단 변동을 감안하여 가중치 보정과정을 통해 표본의 대표성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연도별 자료를 이용한 횡단면(cross-sectional) 분석을 위한 가중치와 함께 동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종단면(longitudinal) 분석을 위한 가중치를 연구 목적에 맞게 적용하여 패널자료를 활용한 대표성있는 통계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중치 종류
재정패널조사는 기본적으로 가구 및 가구원의 횡단면 가중치와 종단면 가중치로 구성되어 있다.
표본의 종류에 따라 적용 가능한 가중치가 달라지므로 유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가중치 종류 - 횡단면 가중치,종단면 가중치를 기존 원표본, 통합 표본으로 나눠서 정보 제공
횡단면 가중치
종단면 가중치
기존 원표본
h__cwt(가구), p__cwt(가구원)
h__lwt(가구), p_lwt(가구원)
통합 표본
h__mcwt(가구), p__mcwt(가구원)
h__mlwt(가구), p__mlwt(가구원)
가중치 사용
재정패널조사에서는 분가가구의 경우, 분가사유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하였다. 분가사유가 결혼인 경우, 원가구의 당해년도 무응답이 보정된 1단계 가중치의 1/2을 부여하였고 기타 사유의 분가가구 경우, 원가구의 당해년도 무응답이 보정된 1단계 가중치를 그대로 부여하였다.
가중치를 적용하여 추정하는 경우 추정량의 분산이 증가하므로 가구가중치 적용에 따른 추정량의 표본오차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조사시점만을 위한 분석의 경우 횡단면 가중치의 사용이 요구되며, 연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종단면 가중치의 사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