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패널조사의 표본 추출단위는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사용한 조사구를 1차 추출단위로 한 뒤, 추출된 조사구에서의 일정수의 가구를 2차적으로 추출하는 2단계 집락추출법(Two-stage Cluster Sampling)을 적용. 신축아파트는 2005년 11월 이후 입주아파트를 60~80가구 정도씩 묶어 일종의 가상적인 조사구를 구성하고, 해당 지역의 가구추출률과 비슷한 추출률이 유지되도록 시도별로 표본 신규아파트 조사구를 추출
납세 관련 정보 파악을 위해 고소득층에서 약 300가구, 정부로부터 지원받는 복지혜택 파악을 위해 저소득층에서 약 300가구를 과대표집(over sampling)
2차년도 대체표본의 경우, 1차년도 조사에서 탈락한 표본이 속해 있던 조사구 내에서 대체 실시
14차 신규 원표본 추출 (2021년 추출 표본)
모집단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 가구와 가구원
표본틀
통계청의 2018년 11월 1일 인구주택총조사 등록 센서스 기준 조사구 리스트 및 2018년 11월 이후 신축 아파트 리스트
표본추출 결과
14차년도 추출 4,035가구 및 15차년도 대체표본 520가구
표본추출 방법
2008년 수행된 표본설계 방안인 층화 이단계 집락 추출법(stratified two-stage cluster sampling)을 유지하고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을 각각 250가구씩 과대표집하여 기존 패널과 신규 패널의 표본설계 측면에서의 체계적 차이를 최소화함
추가된 표본으로 구성되는 통합 패널의 횡단면 분석 결과가 현시점의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추가 표본 구성
15차년도 대체표본의 경우, 14차년도 조사에서 탈락한 표본이 속해 있던 조사구 내에서 대체 실시
표본 종류
기존 원표본: 5,634가구
1차년도 추출 5,014가구+2차년도 대체추출 620가구
통합표본: 9,318가구
14차년도 조사에 성공한 기존원표본 3,948가구(1차년도 추출 3,480가구+2차년도 대체추출 468가구)+분가가구 815가구+신규원표본 4,555가구(14차년도 추출 4,035가구+15차년도 대체추출 520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