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팝업존
팝업존
N
홈페이지가 새롭게 개편되었습니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홈페이지가 새롭게 개설되었습니다.
2019년도 국가회계 전문교육 사전수요조사 안내
[설문조사] 2019년도 국가회계 전문교육 사전수요조사 안내
page1
page2
이전
멈춤
시작
다음
오늘 하루 보지 않기
닫기
조세교육포털
HOME
LOGIN
전체메뉴
전체메뉴
소개
소개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설계합니다.
사업소개
주요업무 담당자
오시는길
공지사항
공지사항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설계합니다.
공지사항
월별일정
설문조사
세심콘텐츠
세심콘텐츠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설계합니다.
세심교실 이야기
콘텐츠 자료실
세심용어사전
신청click
신청click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설계합니다.
세심교실 참가신청
교사연구실
교사연구실
국민을 생각합니다.
미래를설계합니다.
세심교실이란?
교사 승인 신청
교사 이야기 게시판
연구자료 공유실
직무연수 안내
kipf
HOME
소개
사업소개
주요업무 담당자
오시는길
공지사항
공지사항
월별일정
설문조사
세심콘텐츠
세심교실 이야기
콘텐츠 자료실
세심용어사전
신청click
세심교실 참가신청
교사연구실
세심교실이란?
교사 승인 신청
교사 이야기 게시판
연구자료 공유실
직무연수 안내
닫기
조세교육포털
세심용어사전
HOME
세심콘텐츠
세심용어사전
프린트
SNS공유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카카오스토리
복사하기
닫기
세심용어사전
조세와 관련된 용어를 안내하는 페이지입니다. 교재나 컨텐츠에 수록된 조세 용어를 알기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게시물 검색
총 게시물
46
,
페이지
2
/ 5
-전체-
제목
페이지당 게시물수
10
20
30
50
적용
Q
조세 법률주의
A
국민이 어떤 세금을 얼마나 내야 하는지는 국민의 대표로 이루어진 국회에서 법률로 결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헌법에서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진다"(제38조), "조세의 종목과 세율은 법률로 정한다"(제59조)고 규정하여 이 원칙을 선언하고 있다.
Q
조세 공평주의
A
세금이 만들어지고 걷히는 과정이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고 공평하게 적용되어야 한다는 조세법의 기본 원칙이다. 경제적 부담능력이 같으면 세금도 동일하게 내고, 경제적 부담능력이 크면 그만큼 세금도 많이 내는 것을 말한다.
Q
조세
A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경비로 사용하기 위하여 국민이나 주민으로부터 직접적인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걷는 금전 등으로 세금이라고도 부른다.
Q
정액세
A
성별, 신분, 소득 등에 관계없이 부과하는 세금의 금액이 동일한 경우를 말한다. 역사적으로 보면 그리스, 로마, 중세의 서유럽, 14세기 영국 등에서 성인이 된 사람에게 동일한 금액을 부과한 인두세가 정액세에 속한다.
Q
절세
A
세법의 테두리 안에서 정당한 방법으로 내야 할 세금을 절약하는 행위를 말한다. 탈세와는 달리 법을 지켜가며 정확하게 자신이 내야 할 만큼의 세금을 내기 위해 노력하는 현명한 납세자의 권리이다.
Q
재산세
A
집이나 건물, 땅, 비행기, 배와 같은 재산을 담세력으로 판단하여 부과하는 세금으로 지방세이다.
Q
인두세
A
성별, 신분, 소득 등에 관계없이 일정 연령 이상의 사람에게 부과되는 세금을 말한다. 우리나라 주민세 제도의 성격이 이와 유사하다.
Q
예산
A
한 회계연도에 있어서 국가의 세입・세출의 예정 계획을 말한다. 헌법은 예산편성의 권한을 정부의 고유권한으로 하고 있다.
Q
양도소득세
A
토지, 건물 따위를 유상으로 양도하여 얻은 소득에 대하여 부과하는 조세이다. 매도 금액에서 취득할 때의 가격과 필요 경비, 양도 소득 공제 및 해당되는 공제 금액을 뺀 나머지에 대하여 부과된다.
Q
수입
A
정부가 나라 살림을 위해 거둬들인 세금과 벌금, 수수료 등으로 들어오는 돈을 수입이라고 한다. 회계연도와 관계없이 지칭할 때에는 수입이라 하고, 한 회계연도 동안의 수입은 세입(歲入)이라 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