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조세재정브리프

연구보고서 16-14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의 효과 분석 부담의 형평성 효과를 중심으로
관련 검색어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 형평성 소득재분배
  • 발행월 2016-12
  • 저 자 이은경 , 김종면 , 성명재 , 이창우
  • 크 기 B5
  • 가 격 13,000원
  • 조회수 11122

상세 내용

본 연구는 건강보험 부과체계를 소득 중심으로 단일화하였을 때 가구 및 개인의 보험료 부담의 변화, 그리고 건강보험 재정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부과체계 개편안에 대해 여러 가지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료를 종합소득에 부과하였을 때, 직역 간, 소득구간별, 연령대별 보험료 부담 변화 및 재분배 효과를 살펴보고 형평성 제고에 기여하였는지 분석하였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자료(HIES) 2006~2014는 횡단면 자료로 단기적 효과 분석에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의 재정패널자료(NaSTaB) 2008~2014는 종단면 자료로 생애주기적 관점에서 장기효과 분석에 사용하였다.횡단면 자료 분석결과, 건강보험료는 작지만 정(+)의 소득재분배 효과를 나타내며, 건강보험급여는 소득세보다도 높은 소득재분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건강보험료 부과방식을 소득기준으로 전환하면, 주로 노인가구로 구성된 최저소득층의 경우 보험료 부담이 감소하는 반면, 나머지 계층에서는 보험료 부담이 증가하면서 소득재분배 효과가 소폭 증가하였다. 가상적으로 재산기준의 보험료 부과방식을 가미하는 경우 오히려 소득재분배 효과는 미미하지만 (-)로 전환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종단면 자료 분석결과, 종합소득에 정률 보험료를 부과하는 경우 소득재분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소득과 재산을 동시에 부과기준으로 삼은 경우는 소득 재분배에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험료 부과방식이 단순 소득기준에 가장 가까울수록 보험료 부담률이나 재분배 효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별 원문

I. 서 론

II. 현행 건강보험 부과체계의 현황 및 문제점

1. 부과체계의 현황
2. 현행 부과체계의 문제점
3. 조세의 관점에서 형평성 검토

III. 선행연구 및 시나리오 소개

1. 선행연구
2. 시나리오 소개

IV.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의 효과: 횡단면 분석

1. 배경
2. 문헌고찰: 건강보험제도의 형평 및 소득재분배 효과를 중심으로
3.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의 개요
4. 국민건강보험 부담·수혜 분포 및 소득재분배 효과의 추정
5. 국민건강보험료 산정방법 개선 시 기대효과

V.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의 효과: 종단면 분석

1. 개인 및 가구의 보험료 부담 현황
2. 시나리오에 따른 보험료 부담 변화
3. 재분배 효과 분석
4. 건강보험 재정 수입의 변화

VI.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