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납세자 권리보호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
관련 검색어 조세행정 조세정의 납세자운동
  • 발행월 2008-06
  • 저 자 한국조세연구원 , 납세자연합회
  • 가 격 0원
  • 조회수 11115

상세 내용

민주주의 국가는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조세국가이다. 과거에는 조세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절대적 권력인 과세권에 의하여 국민으로부터 강제적으로 징수하는 금전으로 이해하였다. 이때 국민은 조세행정에 있어서 수동적 지위에 머물 수밖에 없었으므로 납세자가 세무행정에 적극 협조하거나 참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 헌법상의 국민주권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주의 정치체제에서는 조세의 개념을 국가 영위에 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납세자 스스로 분담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따라서 납세자의 이해와 협력은 조세행정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가 되었다. 이와 같이 민주국가에서 납세자와 국가는 조세법률관계에 있어서는 물론 조세행정에 있어서도 상호 대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그럼에도 우리나라의 경우 불과 10여년 전만해도 관행화된 행정편의주의적 세무행정과 과세권자의 자의적 권력행사로 인하여 조세를 납부하는 납세자의 권리가 보장되지 못하였으며, 납세자의 지위는 과세권자인 국가에 비하여 상대적 열위에 놓여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조세정의는 납세자의 권리와 의무가 동시에 구현될 때에야 비로소 실현된다는 신념과 국민주권주의 원리, 납세자의 권리를 찾아야 한다는 문제의식이 결합되어 1997년 납세자 권리헌장이 제정되기에 이르렀다. 이후 납세자의 정당한 권리를 되찾고 납세자 스스로 건전한 납세풍토를 조성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시민단체들을 통한 납세자 운동이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이 글에서는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자발적 납세자 운동의 전개 형태와 그 성과를 외국 납세자단체의 활동과 비교하여 조망해보기로 한다. 그리하여 우리나라에 있어서 납세자 운동의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하고 향후 납세자 운동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목차별 원문

제1부우리나라납세자운동과납세자를위한조세정책과제

제1주제우리나라납세자운동의성과와향후과제 Ⅰ.시작하는말 Ⅱ.납세자운동의배경과활동방향 Ⅲ.주요국가의납세자운동 Ⅳ.우리나라의납세자운동 Ⅴ.우리나라납세자운동의평가와과제 Ⅵ.끝내는말
제2주제납세자를위한조세정책과제 I.서론 II.재정포퓰리즘과납세자의소외 III.납세자를위한조세정책의기본과제 IV.납세자를위한소득세정책과제 V.결론

제2부납세자를위한조세행정개선방안

Ⅰ.서설
Ⅱ.납세자의과세처분에대한예측가능성의저해요인
Ⅲ.납세자의과세처분에대한예측가능성제고를위한개선방안
Ⅳ.결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