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세법연구 12-12 비과세·감면 대상 저축상품 해외사례 조사
관련 검색어 비과세 감면 조세지원 저축상품
  • 발행월 2012-12
  • 저 자 김재진 , 김태훈 , 이형민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14278

상세 내용

□ 우리나라는 산업화 과정에서 필요한 자본을 조달하기 위하여 국민들의 저축을 육성하는 정책을 펴옴○평균 개인순저축률은 1975년부터 1980년까지 기간에 10.2%이었고 1991년부터 1995년까지 21.4%에 달함□ 한국은 IMF 경제위기와 최근 금융과 재정의 위기를 거치면서 개인순저축률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추세임○ 중산층 이하 단계에서 가계재정의 부실화는 국가경제를 악화시킬 수 있음○ 또한 가계재정의 부실화는 국민의 노후보장을 어렵게 함□ 한국은 다양한 저축상품에 대한 조세지원제도를 두고 있음○ 중산층 이하의 재산형성, 주택의 취득, 노후자금 마련 등을 지원할 목적으로 저축지원 조세제도를 운영함□ 국가적인 복지시스템이 선진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노후보장과 소득향상을 위한 개인적인 노력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음○ 이러한 이유로 각종 명목의 저축상품에 대한 세제지원 요구가 급증하는 추세임□ 본 보고서는 주요국의 저축상품에 대한 조세지원 제도를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다만 저축은 재산형성을 위한 투자라는 의미로 볼 때 그 범위를 정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음○ 따라서 본 보고서에는 저축을 「조세특례제한법」에서 저축을 지원하는 제도에 대상이 되는 저축상품으로 한정함○ 다만 별도의 조세지원 논리를 가지고 있는 집합투자기구와 퇴직연금은 본 보고서의 저축상품의 범위에서 제외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우리나라의 저축상품 비과세·감면 현황

1. 개관
2. 비과세·감면 저축상품 현황
3. 저축상품 관련 조세지출

Ⅲ. 주요국의 저축상품 비과세·감면 사례

1. 미국
2. 일본
3. 영국
4. 프랑스

Ⅳ. 국제비교

1. 조세특례 운용 비교
2. 조세특례 목적 비교
3. 조세특례 방법 비교

Ⅴ. 요약 및 시사점

1. 저축상품별 조세지원제도 운영
2. 조세지원규모
3. 조세지출과 소득분포
4. 조세지원 대상과 목적의 다양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