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세법연구 16-04 주요국의 조세회피방지를 위한 일반규정 비교연구
관련 검색어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 GAAR
  • 발행월 2016-12
  • 저 자 홍성훈 , 박수진 , 이형민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9817

상세 내용

□ 본 연구는 문헌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와 조사대상국의 조세회피를 방지하기 위하여 법원의 소송절차에서 보여주고 있는 사법적 원칙(judicial doctrine)과 성문화된 일반규정(statutory anti-avoidance)을 비교⋅연구함○ 우리나라 실질과세 원칙인 「국세기본법」 제14조와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고, 조세회피 사건에 대응하는 우리나라 대법원 판례의 분석을 통하여 실체법과 사법적 절차상 한계를 분석함○ 조사대상국의 경우에는, 조세회피방지를 위한 사법적 원칙, 법원의 세법의 해석⋅적용, 그리고 성문화된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상의 주요 내용을 검토함○ 국가별 비교연구를 통하여 사법적 원칙의 작동 여부, 성문화된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의 공통요소를 도출하여 우리나라 실체법상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다만, 개별적 조세회피방지규정이나 절차법상 방안, 그리고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의 도입으로 인한 조세회피의 억제효과는 본 연구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음○ 개별적 조세회피방지규정은 세법에 조세회피 유형을 특정하고 과세요건을 구체적으로 적시하여 이에 해당할 경우 조세회피 행위를 규제하는 방안을 말함○ 절차법상 방안은 일정한 행위유형를 범칙으로 다스리는 법규인 「조세범 처벌법」, 조세회피의 동기를 제거하거나 완화할 수 있는 가산세제도, 질의회신제도 등을 의미함- 다만, 조세소송에 있어서의 입증책임제도는 절차법에 속하지만, 조사대상국의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의 주요 내용에서 살펴봄○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으로 인한 납세자의 조세회피 행위의 감소 및 법원의 인용 판결 등과 같은 억제효과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의 범위에 속하지 않음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1. 연구배경
2. 연구방법

Ⅱ. 조세회피 관련 일반 사항

1. 조세회피 개념
2. 조세회피 방지를 위한 법원의 대응방안
3. 거래의 재구성

Ⅲ. 우리나라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

1. 「국세기본법」제14조 실질과세 원칙
2. 판례분석
3. 우리나라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의 한계

Ⅳ. 주요국의 일반조세회피방지규정

1. 미국
2. 호주
3. 영국
4. 독일
5. 프랑스

Ⅴ. 국제비교와 시사점

1. 국제비교
2.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