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연구보고서 16-12 중소기업 지원 재정사업 성과평가
관련 검색어 중소기업 성과평가 지원사업
  • 발행월 2016-12
  • 저 자 박노욱 , 강희우 , 이상헌 , 표한형
  • 크 기 B5
  • 가 격 9,000원
  • 조회수 10781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현황 및 기존 연구에서의 쟁점 정리를 출발점으로 하여,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새로운 분류체계 개발과 사업의 효과성 분석을 다양한 각도에서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는, 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관리시스템이라는 새로운 데이터를 활용하여 과거 연구에 비해 포괄적인 효과성 분석을 시도했다는 것과 사업의 특성을 반영하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개발함으로써 향후 사업관리와 성과평가를 위한 새로운 기반을 마련했다는 것이다.본 연구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일반적인 사업 정보와 더불어, 지원목적(투입요소지원, 시장매칭 지원, 컨설팅 및 정보 제공), 지원대상(규모, 업종, 기술기준, 신용 기준 등), 지원수단(활동 및 수행방식)을 기준으로 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사업 효과성 분석 결과는, 과거 연구에 비해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사업유형별로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대체로 매출액, 고용인원수, 부가가치에 대해 지원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데이터 및 분석 범위

Ⅱ. 우리나라 중소기업 및 지원사업 현황

1. 중소기업 생태계 현황
2. 중소기업 재정지원사업 현황
3. 중소기업 관련 이슈

Ⅲ.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수혜 분석

1. 수혜 현황
2. 중복수혜 현황 분석
3. 효과성 분석을 위한 중복 유형의 정의

Ⅳ.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대한 선행 연구 및 쟁점

1. 현행 중소기업 지원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2.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효과
3. 중소기업 지원사업 성과관리체계 개선
4. 중복수혜의 정의와 이슈

Ⅴ.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분류체계

1. 중소기업 지원사업 분석의 틀
2. 분류체계 개발안
3. 분류체계(안)을 활용한 사업구성 검토

Ⅵ.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1. 분석 전략
2. 데이터 및 분석대상 기초통계
3. 사업군별 분석 결과
4. 사업군별 중장기 효과 분석
5. 사업군별 B/C 분석
6. 부가가치 분석
7. 사업군 간 중복수혜 효과 분석
8. 분석의 한계

Ⅶ.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1. 연구 결과 요약 및 한계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