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조세재정브리프

세법연구 15-02 조세조약상 혜택제한 조항 도입에 관한 국제비교 연구
관련 검색어 조세조약 혜택제한 국제비교
  • 발행월 2015-08
  • 저 자 홍성훈 , 정훈 , 홍민옥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11280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조세조약의 주요 목적 중 하나는 조약체결국(체약국)의 거주자들이 겪는 국제적 이중과세를 완화하는 것임○국제적 이중과세란, 개인 또는 단체가 여러 나라에 걸쳐 경제행위를 하고 얻은 소득에 대해 원천국과 거주국에서 동시에 세금을 부담하는 상황을 의미○조세조약이 주는 비과세, 과세 면제, 제한세율 적용 등의 혜택은 체약국의 거주자를 대상으로 함□원래 체약국의 거주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형식적으로 거주자가 되도록 가장하여 더 좋은 조건의 조세조약상 혜택을 누리려고 할 수 있음○이러한 행위를 ‘조약 쇼핑’(treaty shopping)이라 부름○조약 쇼핑은 대체로 더 좋은 조세조약을 맺고 있는 나라에 도관회사를 설립하고 이 회사를 통해 투자대상국에 투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조약 쇼핑이 가능한 간접투자 구조를 조세조약 네트워크상의 세금 최소화 경로 분석을 통해 파악할 수 있음(홍성훈·안종석, 국제조세회피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원천국 과세회피를 중심으로,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14.12.)□조약 쇼핑이 가능한 이유는, 나라들이 체약국이나 소득 구분(이자, 배당, 사용료 등)에 따라 조약에서 서로 다른 세율을 설정하고, 조약 혜택을 받는 대상을 자국 또는 상대국의 ‘거주자’라는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정하기 때문임○조약 쇼핑을 방지하기 위해, 체약국이나 소득 구분에 따라 차별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세율을 일정 범위에서 통일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한편 조약에서 포괄적으로 규정하는 거주자 조건을 더욱 명확히 하여,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조약의 혜택을 받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통상적으로 거주자는 체약국에서 ‘납세의무’를 지는 개인 또는 단체(법인)를 의미한다는 해석이 있음○하지만 납세의무자가 반드시 실제로 세금을 납부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해석마저도 실제 조약 쇼핑 사례에서는 명확한 판정 기준이 되지 못함 대법원 2014.6.26. 선고 2012두11836 판결, 이른바 ‘동원엔터프라이즈’ 사건의 판례 참고□조세조약에서 거주자 조건(조세조약 수혜대상 조건)을 명확히 하는 접근법의 예가 조세조약상 혜택제한(Limitation of Benefits; LOB) 조항을 도입하는 것임○최근 OECD/G20의 BEPS(Base Erosion and Profit Shifting) 프로젝트에서는 총 15가지로 나누어 각국의 정부에 국제조세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이 중에서 Action 6가 조세조약 남용 방지를 위한 제도적 개선에 해당하며, OECD 모델 및 실제 조세조약에서 LOB 조항을 도입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논의 중인 LOB 조항은 미국의 모델 조세조약상 조항을 기초로 함○최근 일본도 적극적으로 개정 조세조약에 LOB 조항을 추가하고 있음□본 보고서는 조세조약상 혜택제한 조항 도입에 관한 최근의 논의 및 주요국의 도입 현황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도입의 실익을 분석하고자 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조세조약의 남용 및 대응방안

1. 조세조약 남용의 정의와 유형
2. 국내의 조세조약 남용 및 대응방안 사례
3. 조세조약 남용에 대한 일반적 대응방안
4. 특정 조약의 “LOB규정”
5. 우리나라의 현황

Ⅲ. 국외의 LOB규정 사례

1. 미국
2. 국제연합(United Nations)
3. OECD
4. 일본
5. 인도
6. 영국
7. 독일
8. 호주
9. 룩셈부르크
10. 네덜란드
11. 벨기에
12. 홍콩
13. 싱가포르

Ⅳ. 국제비교

1. 기본 모델의 비교
2. 주요 조세조약 비교
3. 각국의 최근 추세

V. 시사점

1. 조세조약상 혜택제한조항 도입의 실익
2. 우리나라 조세조약상 LOB규정 도입의 적절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