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조세재정브리프

연구보고서 17-02 조세정책의 재분배 효과 노동공급에 대한 영향을 중심으로
관련 검색어 조세정책 노동공급 자산효과
  • 발행월 2017-12
  • 저 자 오종현 , 최충
  • 크 기 B5
  • 가 격 9,000원
  • 조회수 8925

상세 내용

본 연구는 오종현・박명호(2015)의 일반균형모형에 Jaimovich and Rebelo(2009, 이하 JR)의 효용함수를 도입하여 노동공급의 자산효과에 따른 조세정책의 재분배 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에서는 일반적으로 노동공급의 자산효과가 큰 것으로 가정하여 King, Plosser, and Rebelo(1988; 이하 KPR)의 효용함수를 가정한다. 반면 오종현‧박명호(2015)와 같이 노동공급의 자산 효과를 제거한 연구에서는 Greenwood, Hercowitz, and Huffman (1988; 이하 GHH)의 효용함수를 가정한다. JR 효용함수는 KPR 효용함수와 GHH 효용함수를 두 가지의 양극단적인 효용함수로 포함하며, 특정 모수를 통해 양극단이 아닌 다양한 수준의 노동공급의 자산효과를 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일반균형모형 분석 결과 노동공급의 자산효과가 조세정책으로 인한 분배지표 변화의 방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변화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친다. 가령, 소득세의 누진도를 증가시킬 경우,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처럼 일반균형모형에서 KPR 효용함수를 가정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조세정책의 재분배 효과가 과소평가 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소득세율의 인상에 대해서는, 노동공급의 자산효과가 클수록 근로소득 지니계수의 변화율도 커지지만, 시장소득, 처분가능소득, 소비의 지니계수의 변화율은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한편, 일반균형모형을 통해 도출된 노동공급의 1계조건을 이용하여 『한국 노동패널조사』를 활용하여 노동공급의 자산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KPR 효용함수와 GHH 효용함수 모두 노동공급의 자산효과에 대해 지나치게 극단적인 가정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민감도 분석에도 강건하게 나타난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소득, 소비, 순자산의 불평등지수

1. 자료 및 방법론
2. 분석 대상 표본의 특성
3. 소득, 소비, 순자산에 대한 불평등지수
4. 단계별 불평등지수 비교
5. 자료별 불평등지수 비교

Ⅲ. 효용함수와 일반균형모형

1. 효용함수 관련 거시경제학의 선행연구
2. 효용함수와 노동공급의 자산효과
3. 일반균형모형
4. 기준(baseline)모형의 모수(parameters) 설정
5. 기준(baseline)모형의 정상상태

Ⅳ. 노동공급의 자산효과에 따른 조세정책의 재분배 효과

1. 노동공급 자산효과에 따른 노동공급, 소비, 자산에 대한 의사결정
2. 통합소득세 누진도 강화의 경제적 효과
3. 통합소득세율 인상의 경제적 효과
4. 자산소득세율 인상의 경제적 효과
5. 소비세율 인상의 경제적 효과
6. 민감도 분석: 이질적인 노동공급의 자산효과

Ⅴ. 노동공급의 자산효과에 대한 실증분석

1.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차별성
2. 방법론
3. 자료 및 기초통계량
4. 소득세 함수 추정 결과(회귀분석 1단계)
5. 노동공급 자산효과 추정 결과(회귀분석 2단계)
6. 노동공급 자산효과 추정에 대한 민감도 분석

Ⅵ. 결론 및 정책시사점

참고문헌

<부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