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기타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16-17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제도 실증 연구
관련 검색어 경영평가 도덕적 해이 공공기관 다중임무 주인 대리인
  • 발행월 2016-12
  • 저 자 최한수 , 홍우형
  • 크 기 B5
  • 가 격 5,000원
  • 조회수 9236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논문에서는 Holmström and Milgrom(1991)의 다중 임무하의 주인-대리인 간의 최적 계약이론 이용하여 현행 공공기관 경평제도 설계방식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이의 개선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규범적 관점에서 경평제도 설계의 적정성을 판단할 기준은 다음과 같다.⑴ 경평이 도덕적 해이의 통제장치로서 작동하고 있는가.⑵ 경평결과가 효율성이나 공공성 제고를 위한 기관의 노력과 무관한 요인에 결정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가.⑶ 평가결과가 효율성이나 공공성 제고를 위한 기관의 노력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항목에 의해 좌우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는가.이러한 명제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지난 2008~2013년도 사이에 약 100여 개의 공공기관을 상대로 진행된 경평결과를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해 보았다. 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현행 경평제도는 공공기관의 도덕적 해이를 규율하는 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둘째, 평가결과가 해당 기관의 공공성이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노력과 상관없는 비본질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셋째, 경평결과가 리더십이나 책임경영처럼 본질적으로 측정오차가 클 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의 효율성이나 공공성을 위한 노력 수준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담고 있는 요인에 의해 좌우되었다. 이는 경평성과급의 크기가 사실상 리더십이나 책임경영의 평가결과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의미한다.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경평제도를 도덕적 해이의 통제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평가지표를 부채비율이나 복리후생비로 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둘째, 경평결과가 비본질적 요인에 의해 영향받는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평가 지표를 대폭 축소하고 평가내용도 최대한 단순해지도록 재설계해야 한다.셋째, 현재처럼 경평성과급의 크기가 리더십이나 책임경영처럼 공공기관의 노력 수준에 대한 부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지표에 의해 결정되는 상황이 지속된다면 경평성과급의 크기를 줄여나가거나 극단적인 경우 폐지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최적일 수 있다.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주요 결론
3.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

Ⅱ. 경영평가의 제도적 배경 및 선행 연구 정리

1. 경영평가제도의 내용과 특징
2. 선행연구 정리

Ⅲ. 경영평가제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경영평가제도의 경제학적 근거
2. 계약(contract)으로서의 경영평가제도
3. 복수의 과제를 대리인에게 맡기는 경우의 최적 계약이론

Ⅳ. 경영평가제도 설계의 적절성과 관련된 명제

1. 도덕적 해이의 통제장치로서의 경영평가제도
2. 평가지표설계의 적절성
3. 경영평가성과급 설계의 적정성

Ⅴ. 실증분석 결과

1.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대한 기초통계 분석
2. 검증 명제 실증분석

Ⅵ.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결론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및 제도 개선방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