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2024~2028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보고서: 고용 분야
관련 검색어 중기 재정전망 분야별 재정지출 지출 구조조정 재정혁신 인재양성 고용 인력관리 고령 근로자 교육 대학
  • 발행월 2024-12
  • 저 자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 크 기 A4
  • 가 격 0원
  • 조회수 780
저자발간물
저자 이미지
국가재정운용계획 지원단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1 

1절 고용 분야 재정투자 현황 

1. 현황 및 추이 

2. 성과 및 한계 

2절 고용 분야 재정투자 여건 

1. 재정운용 여건 

2. 사회·경제적 여건 

참고문헌 

 

2 

1절 현황과 문제점 

1. 평생직업능력개발 수요 증대 

2. 직업능력개발사업 주요 현황 및 여건 

3. 사내대학 운영 현황 및 문제점 

2절 개선방안 

1. 정부 주도 직업훈련 사업 개선 

. ·중소기업 공동훈련 등 산업계 참여 훈련 확대 

. 중소기업 훈련 활성화 

. 직업훈련 사업별 성과에 기반한 지원 강화 

. 개인별 직무역량 인정 플랫폼 연계 및 활용 확대 

2. 산업계 주도 인재양성 지원 강화 

. 사내대학원 운영 활성화 

. 첨단산업별 아카데미 운영 활성화 

. 사업주자격, 산업내자격 운영 활성화 

참고문헌 

 

3 

1절 서론 

2절 근로·복지 연계 제도의 효과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공공부조 제도와 노동 공급 

2. 근로장려세제와 노동 공급 

3. 자산형성지원사업과 노동 공급 

3절 근로·복지 연계 제도의 현황과 성과 및 한계 

1. 자활 급여 개요 

2. 자활지원사업 추진 현황 

. 자활사업 운용 현황 

. 세부 사업별 운영 현황 

3. 자활사업의 성과와 한계 

. 수급자 특성에 부합하는 자활 경로 수립의 어려움 

. 자활 사업 의존 및 회전문 현상 심화 

. 정체된 탈수급 

4절 개선방안 

1. 맞춤형 자립 지원 강화 

2. 금전적 인센티브 강화 

참고문헌 

 

4 

1. 현황 및 문제점 

. 청년 고용 현황 

. 청년 고용 사업 현황 

. 소결 

2. 개선방안 

. 전반적 개선방향 

. 구체적 개선방안 

참고문헌 

 

5 

1절 제도 현황 및 쟁점 

1. 육아휴직제도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2절 성과점검 

1. 국제비교 

2. 선행연구조사 

3절 개선방안 

1. 육아휴직 보완방안: 사내문화 및 사용여건 완화를 위한 기업 역할 강화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활성화 방안 

3. 육아휴직 및 육아기 단축근로 지원관련 세제지원 개선방안 

4절 소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