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관세연구 14-05 교역안전 제고를 위한 국제 수출통관제도의 동향 및 시사점
관련 검색어 수출통관제도 불법수출
  • 발행월 2014-12
  • 저 자 강성훈 , 김미영 , 노영예
  • 크 기 B5
  • 가 격 0원
  • 조회수 8966

상세 내용

□우리나라는 1990년대 중반 이후 신속 수출통관체제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수출통관제도 규제완화를 중심으로 관세제도의 선진화가 이루어지기 시작함○보세구역 장치의무 폐지, 보세운송제도 폐지, 수출신고면허제에서 신고제로의 전환 등이 수출규제 완화정책에 속함□2001년 9·11 테러 이후 WCO에서 국경안전에 대한 세관의 노력을 위해 2005년 ‘SAFE Framework’를 승인한 이래, 교역안전과 무역원활화의 균형을 강조하는 국제무역기조가 확산되어 왔음○SAFE Framework이란 국제무역의 안전과 원활화 표준에 대한 Framework을 의미함○SAFE Framework는 (1) 수출입의 안전 및 원활화를 위한 통합표준 정립과 (2) 세관과 세관/민간기업 간 협력 강화 추진, 그리고 (3) 민간 자율심사를 위한 AEO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무역 흐름에 따라 신속통관체제를 구축하고 수출규제 완화정책을 일관적으로 추진하되, 교역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책 변화와 노력을 함께 기울이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2004년에 도입된 적재 전 검사제도 도입을 들 수 있음○이 적재 전 검사제도의 도입목적은 불법수출을 미연에 방지하고 교역안전을 기하기 위함임□적재 전 검사제도 도입 등 교역안전을 위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고차량, 도난 또는 분실된 스마트폰 등의 밀수출 등 불법수출 사례는 줄어들지 않고 사회적으로 문제가 불거지면서 수출단속의 필요성이 제기됨□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통관이라는 무역기조는 유지하되 수출법규 준수를 도모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주요국의 수출통관제도를 살펴보고, 이 가운데 특히 수출품목에 대한 물품검사방법, 불법수출 단속을 위한 사후관리제도 등을 조사하고자 함

목차별 원문

Ⅰ. 서 론

Ⅱ. 우리나라의 수출통관제도 현황

1. 수출통관 절차
2. 수출통관제도 변천
3. 우리나라의 불법수출 현황

Ⅲ. 주요국의 수출통관제도

1. 국제무역의 안전과 원활화 표준에 대한 WCO Framework(SAFE Framework)
2. 미국
3. 호주
4. 일본
5. 캐나다
6. 소결

Ⅳ.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