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조세투명성의 요건 및 지침에 관한 연구
관련 검색어 가시성 접근성 비교가능성 일관성
  • 발행월 2008-12
  • 저 자 심충진
  • 조회수 12622
저자발간물
저자 이미지
심충진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보고서는 조세투명성의 요건 및 지침을 제시하기 위하여 투명성의 일반 개념에서 출발하여 조세투명성의 정의를 도출하였다. 조세환경 내의 각 대상별로 조세투명성에 대한 정의를 설명하고 각 대상별로 조세투명성이 달성해야 될 목표 제시와 조세투명성을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을 납세자 측면과 조세행정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조세투명성의 정의는 조세의 테두리 내에 있는 정보이용자가 정보에 접근하여 이를 보고 이해함으로써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고 미래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조세투명성의 1차적 요건으로 이해가능성(understandable), 가시성(visible) 및 접근성(accessible)을 제시하였으며 2차적 요건으로 비교가능성과 일관성을 제시하고 제약 요건으로 효율성(효익 대비 비용)을 제시하였다. 이해가능성이라 함은 정보이용자가 정보제공자로부터 받은 정보가 어떤 의사결정에 의해 도출된 것인지를 이해할 수 있고 앞으로의 상태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가시성이라 함은 조세가 투명하기 위해서는 납세자 또는 과세관청이 서로의 조세관련 정보를 볼 수 있어야 함을 말한다. 접근성이라 함은 조세관련 정보의 흐름 과정에서 정보이용자의 정보 획득을 위해서 언제든지 접근이 가능해야 하고 해당 정보의 검증까지도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납세자의 조세투명성 확보를 위한 지침을 해당 납세자 기업의 지배구조의 투명성, 과세대상 인식, 과세소득금액 결정 및 신고․납부의 투명성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국세행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지침을 국세행정의 하부구조, 세원관리, 세무조사, 징세, 납세서비스 및 권익보호의 투명성으로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납세자 투명성 및 국세행정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보의 이해가능성, 가시성 및 접근성의 1차적 요건 외에 비교가능성 및 일관성의 2차적 요건이 있어야 한다. 조세투명성이 높아진다고 하여 조세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조세투명성과 조세의 효율성은 별도로 접근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조세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보고서가 조세의 투명성을 확보를 위한 하나의 지침으로서의 역할은 충분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1.연구배경및목적
2.연구범위및방법

Ⅱ.투명성에대한기존문헌조사

1.투명성의의
2.투명성에대한선행연구

Ⅲ.조세투명성의개념도출

1.일반적정의
2.납세자의투명성
3.세무행정투명성
4.조세제도투명성

Ⅳ.조세투명성의요건

1.조세투명성요건의체계
2.이해가능성요건
3.가시성요건
4.접근성요건

Ⅴ.납세자의투명성확보를위한지침

1.지배구조의투명성
2.과세대상인식에관한투명성
3.과세소득금액결정에관한투명성
4.신고·납부에관한투명성
5.2차적요건
6.제약요건

Ⅵ.국세행정투명성확보를위한지침

1.국세행정하부구조의투명성
2.세원관리기능의투명성
3.세무조사기능의투명성
4.징세기능의투명성
5.납세서비스및권익보호기능의투명성
6.2차적요건및제약요건

Ⅶ.결론

참고문헌

[부록]IMF의재정투명성매뉴얼(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