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KIPF 조세재정 브리프 통권 제158호] 고령자의 경제활동과 정부정책에 대한 연구: 근로장려세제를 중심으로
관련 검색어 근로장려세제 고령자 노동공급 소득보존
저자발간물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요약

본 연구는 현재까지 연구가 미미했던 근로장려세제가 50세 이상 준고령자 및 고령자의 경제활동, 소득, 은퇴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고령화사회에 세제혜택의 역할을 고찰해보고자 함

• 2022년 근로장려금 수급자 중 50세 이상 가구주 가구의 비중은 45.4%(보건복지부, 2021)로 다수를 차지하나, 현재까지 해당 수급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음

• 반면, 기대수명의 연장과 함께 노인인구의 지속적인 소득활동이 중요해지면서, 고령층에 대한 세제혜택은 민간노동시장에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를 통한 소득보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됨 

• 대표적인 근로연계형 소득지원제도인 근로장려세제의 효과를 분석해 봄으로써 이를 고찰해보고자 함

재정패널 자료(2011~2021년)와 외생적 수급자격요건을 사용한 고정효과모형과 국세청 미시자료(2017~ 2022년)를 사용한 분석결과 소득과 은퇴행위 측면에서의 긍정적 효과가 발견됨 

• 근로장려금 수급자격을 획득한 다음 해의 근로 여부 및 근로시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작지만 유의한 총소득 증가가 관찰됨

• 조기노령연금 수급 여부와 주관적 응답에 의한 은퇴 여부 또한 감소하는 효과를 발견함


제도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제안사항은 다음과 같음 

• 수급자들에 대한 근로장려금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양질’의 ‘민간부문’ 일자리 공급이 필요함 

• 또한, 고령층을 위한 일자리 사업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고령층이 소유한 인적자본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해 심층 연구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