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우리나라 부가가치세제 정책과제의 경제적 분석: 과세베이스 확대를 중심으로
관련 검색어 면세범위 면세점 간이과세자
  • 발행월 2007-12
  • 저 자 김승래 , 박명호 , 홍범교
  • 가 격 7,000원
  • 조회수 28277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본 연구에서는 향후 부가가치세 개편 논의에서 주요 쟁점이 될 수 있는 부가가치세의 면세범위 조정 문제와 납부의무 면제점 수준 및 업종별 부가가치율 설정 문제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먼저, 부가가치세 면세범위 축소를 통해 과세베이스를 확대하는 경우 세수·물가·소득재분배에 미치는 효과를 Gottfried and Wiegard(1991)의 일반균형분석 방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또한 Keen and Mintz(2004)의 단순모형과 Zee(2005)의 모형을 통해 현행 우리나라 부가가치세 납부의무 면제점 수준이 적정한지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간이과세자에게 적용되는 업종별 부가가치율이 타당하게 설정되었는지 평가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현재 면세품목인 미가공식료품․농림축수산물 부문은 1조 4천억원, 정부․정부대행기관 부문은 5조 6천억원, 여객운송용역 부문 1조 1천억원, 금융보험용역 부문 8천억원, 의료보건․교육용역 부문 4조 7천억원의 세수증가 효과를 가져왔다. 반면, 도서․신문․잡지 부문은 예외적으로 약 64억원의 세수감소 효과를 보였다.또한 부가가치세 면세품목의 과세품목 전환 후 일반물가 수준에 미치는 전반적 효과는, 현행 면세품목들의 과세 전환에 따른 상대가격 및 물가파급효과가 미가공식료품․농림축수산물 부문(0.65%)과 정부․정부대행기관 부문(0.26%)을 제외한 도서․신문․잡지 부문(0.02%), 여객운송용역 부문(0.06%), 금융보험용역 부문(0.07%), 의료보건․교육용역부문(0.08%)에서는 대체로 그 효과가 일시적이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행 면세품목들의 과세 전환이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생필품(음식료품 관련) 등 일부 주요 품목을 제외하면 그다지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가가치세제의 과세기반 확대와 관련하여 현행 면세품목의 과세 전환시 세수증대 효과에 비하여 물가나 소득재분배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유의미하게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일반소비세로서의 효율성, 안정성, 단순성 등 각종 긍정적 측면들을 적극 고려하여 부가가치세 면세범위를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한편 Keen and Mintz(2004)의 단순모형과 Zee(2005)의 모형을 통해 우리나라 부가가치세 납부의무 면제점 수준의 적정성을 검토한 결과 현행 면제점 수준이 적정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 면제점 수준의 상향 조정을 통해 사회적 후생을 증가시킬 여지가 있음을 나타낸다.마지막으로 간이과세자에게 적용되는 현행 3가지 업종별 부가가치율은 실제 부가가치율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간이과세자의 과세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법정 부가가치율을 업종별로 더욱 세분화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우리나라부가가치세제현황및정책과제

1.부가가치세제연혁및현황 가.연혁 나.현행부가가치세제 다.부가가치세수현황
2.외국의부가가치세제와의비교 가.OECD국가의부가가치세제 나.OECD국가별면세범위 다.OECD국가의영세율적용범위 라.OECD국가의부가가치세면제점운영현황 마.OECD국가의소비세세수동향 바.시사점
3.우리나라부가가치세제의정책과제 가.면세범위 나.간이과세제도 다.세율및세율체계 라.전자상거래 마.부가가치세세정

Ⅲ.부가가치세제과세범위관련이슈

1.부가가치세과세범위조정의필요성
2.부가가치세제과세기반관련정책과제 가.거래흐름상과세범위확충 나.부가가치세탈루방지와거래흐름상세원투명성확충
3.부가가치세제과세기반조정효과 가.분석모형의이론적배경 나.실증분석
4.부가가치세제과세범위관련정책방향

Ⅳ.부가가치세제의간이과세제도관련이슈

1.납부의무면제기준금액(VATthreshold)의적정성검토 가.배경 나.OECD국가의부가가치세면제점운영현황 다.KeenandMintz(2004)의모형소개 라.Zee(2005)의이론모형 마.모의실험 바.소결
2.업종별부가가치율설정의타당성검토 가.배경 나.업종별부가가치율의추이 다.업종별부가가치율의한시적인하에따른세부담경감효과 라.현행업종별부가가치율의타당성검토 마.소결
3.부가가치세제간이과세관련정책방향

V.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