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연구보고서 17-17 공공기관 신뢰와 조직효과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_직무몰입과 만족을 중심으로
관련 검색어 공공기관 관리정책 공운법 지배구조 경영평가
  • 발행월 2017-12
  • 저 자 박한준 , 하세정
  • 크 기 B5
  • 가 격 6,000원
  • 조회수 11894
주제별 발간물

상세 내용

우리나라 공공서비스 전달체계의 핵심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공공기관은 과거 경제개발과 산업육성의 견인차로서 역할을 담당하여 왔으며, 경제성장에 대한 이들의 기여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경제가 크게 성장한 성과가 있었지만, 공공서비스 공급자 관점 중심으로만 형성되어 온 공공기관 정책방향과 관리제도에 대한 본질적인 평가나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부가 활용하고 있는 관리제도 및 정책에 대한 1차적 평가를 통해 그 효용성을 점검하였다. 그동안 혁신 대상에서 예외로 여겨졌던 공공기관 관리제도에 대한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인식수준을 점검하였으며, 관리제도와 정책에 대한 인식수준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직무몰입, 조직만족, 조직시민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119개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중간관리자급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분석에서는, 공공기관 관리제도(경영공시제도, 기능조정제도, 증원심사제도, 경영평가제도, 총액인건비제도)와 정책(성과연봉제, 여성관리자 확대, 고졸자채용, 지역인재채용, 임금피크제)의 효용성에 대한 공공기관 내부구성원의 평가적 의견을 확인하였다.

목차별 원문

Ⅰ. 연구배경

Ⅱ. 정책적 논의와 이론적 배경

1. 정책적 논의
2. 신뢰의 유형과 선행요인
3. 조직신뢰의 효과성

Ⅲ. 주요 관리정책과 제도

1. 공공기관 지정제도
2. 공공기관 경영공시 및 통합공시 제도
3. 공공기관 증원심사(정원관리)제도
4. 총액인건비제도(총인건비 인상률 제한)
5. 경영실적평가제도
6. 기능조정

Ⅳ. 분석모형과 설문조사

1. 분석의 틀
2. 설문조사

Ⅴ. 설문결과 및 실증분석

1. 정부정책 및 제도에 대한 인식
2. 조직신뢰 형성요인 분석
3. 신뢰의 조직효과성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