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레프트메뉴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더밝은 내일을 열어갑니다

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전체

거대경제권과 FTA 체결에 따른 기본관세율 개편방안 연구
관련 검색어 DDA협상 중심관세율 중간재 역관세
  • 발행월 2009-07
  • 저 자 정재호
  • 조회수 14346

상세 내용

□ 아세안, 미국, EU 등 우리나라와 교역규모가 큰 국가들과의 FTA 체결이 확대되는 추세○ 2007년 아세안과의 상품분야 FTA 체결○ 미국과의 FTA는 발효를 앞두고 있음○ EU, 일본, 중국, GCC와의 FTA도 협상 중이거나 논의 중에 있음□ 2008년 기준 아세안, 미국, 그리고 EU와의 교역비중은 우리나라 수출 기준 36.5%, 수입 기준 27.4%를 차지하고 있음○ 2008년 기준 우리나라와 교역비중이 가장 큰 국가는 중국○ 아세안, 미국, EU는 우리나라 6대 교역국 일원□ 우리나라와 교역규모가 큰 국가들과의 FTA 체결 확대는 우리나라의 관세율 구조에도 영향을 미침○ 현재 중심세율 체계에서의 FTA 협정세율로 인해 무역전환효과를 방지하기 위한 관세율 정책 필요○ 동일 물품의 상이한 관세율로 인한 문제점○ 현재 진행 중인 WTO DDA와의 관계□ 현재 진행 중인 WTO DDA 협상과 함께 우리나라와 교역규모가 큰 국가들과의 FTA 체결 확대에 따른 우리나라 관세율 구조의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 본 연구는 향후 지속될 우리나라의 FTA 협상 체결에 따른 우리나라 관세율 구조의 전반적인 방향에 대한 정책적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됨○ 기본관세율 구조의 기본적인 방향 정립에 활용○ 가공단계별 관세율 체계의 방향 모색의 참고자료

목차별 원문

Ⅰ.서론

Ⅱ.기본관세율구조와FTA협정세율과의관계

1.FTA와기존관세율구조와의이론적관계

Ⅲ.현행기본관세율구조에대한논의

1.현행관세율구조
2.최적의차등관세율구조
3.균등과중심관세율구조비교

Ⅳ.FTA협정세율과기본관세율관계

1.주요국의FTA체결이후의관세율변화
2.FTA발효와연계된중심관세율인하
3.중간재에대한관세율정책
4.동일물품의상이한관세율로인한문제

Ⅴ.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