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증거기반
조세 및 재정 정책 연구의 산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최근 한국경제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는 글로벌 경제위기 등 경기 변동성에 기인한 외부적 요인뿐만 아니라 고용 없는 성장, 산업간 생산성 및 경쟁력의 격차 확대, 수출산업에 대한 높은 의존도, 고령화 등 고질적이고 구조적인 내부적 요인을 동시에 안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기존의 문제들에 더하여 최근 사회 각계각층으로부터 분출되는 복지 확대의 요구가 심화되어 있어 이로인한 재정건전성 악화 또한 우려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과거 선진국 추격형 모형이나 영미식의 개방된 시장경제모형, 최근 유럽식 복지경제 모형을 모색하고 있으나, 한국이 당면한 복합적 문제를 동시적으로 해경하기에는 쉽지만은 않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4개 국책연구원과 11개 주요학회와 공동으로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한국적 현실에 맞는 해결방안을 하고자 한국 자본주의 생태계의 새로운 모색을 위한 대규모 종합적 협동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금번 토론회에서 공유하고자 합니다.
이번 토론회는 한국경제사회가 당면한 구조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있어 예상할 수 있는 경제사회적 가치와 과제들을 소개하고, 이들 가치들의 조화와 균형을 모색하면서 어떻게 우리나라가 당면한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 한국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전략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바쁘더라도 부디 참석하셔서 좋은 의견을 개진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일 시 : 2012년 4월 24일(화)~25일(수) (2일간)
○ 장 소 : 포스트타워 대회의실(10층)
○ 주 최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중앙일보
○ 후 원 : 국무총리실, 한국사회과학협의회
2012년 4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이사장 박진근